한국릴리(대표 존 비클)는 16일 ‘버제니오 미디어 세션’을 개최하고 조기 유방암의 최신 지견과 재발 고위험 환자들을 위한 수술 후 보조요법의 중요성에 대해 소개했다.
고려대학교안암병원 종양내과 박경화 교수는 ‘재발 고위험군 삶의 의미 있는 변화: 조기 유방암 수술 후 보조요법의 임상적 역할’을 주제로 국내 유방암 질환 및 치료 환경과 조기 유방암의 재발 위험성과 수술 후 보조요법의 중요성 등에 대해 설명했다.
박 교수는 “조기 유방암은 생존율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재발 고위험일 경우의 예후는 그렇지 않은 경우와의 차이가 크다[i]. 재발할 경우 거듭된 재발을 경험하는 경우가 많고[ii], 생존율은 상대적으로 매우 낮아지기 때문에1 완치를 목표로 적극적인 치료를 할 수 있는 마지막 단계이다”며 “특히, HR+/HER2- 유방암 재발 고위험군은 초기 1~2년 사이에 재발률이 가장 높다 [iii]. 또한 조기 유방암은 수술 후에도 미세 전이가 남아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지속적이고 적극적인 치료가 중요하다[iv]”고 말했다.
또한 박 교수는 “특히 국내에서는 30~40대의 젊은 여성 유방암 환자가 증가하고 있는데, 이들은 사회와 가정에서 맡은 역할이 많기에, 재발이나 전이 발생시 환자 본인은 물론 가족의 치료 부담은 커질 뿐만 아니라 나아가 사회경제적 비용에도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v]”고 설명하는 한편, “환자들이 수술 후 이어지는 치료를 받는 중에도 가장 두려워하는 것이 ‘재발’이다. 의료진 역시 치료를 마치고 집에 돌아갔던 환자가 다시금 진료실에 들어올 때 정말 마음이 아프다”며 “이제는 재발 위험을 줄이고, 환자들의 불안을 줄여줄 수 있다는 점에서 고무적이지만 여전히 경제적인 여건의 차이로 적극적인 치료를 포기하는 환자들이 많이 존재한다”고 진료 현장의 현실을 언급했다.
이어 “버제니오의 임상적 유용성은 여러 연구에서 확인된 바 있으며, 실제 진료 현장에서도 의료진과 환자들의 기대가 크다”며 “버제니오와 내분비요법을 2년 동안 병용한 치료는 내분비요법 단독에 비해 재발 및 전이 위험을 크게 낮추는 효과가 있으며, 임상시험에서도 장기적으로 치료 성적의 격차가 보다 벌어지고 있다[vi]. 특히 monarchE 임상의 5년 추적 연구 결과, 버제니오 2년 치료가 끝나고 3년이 지난 5년차 시점까지도 침습적 무질병 생존율(IDFS) 증가 및 원격 무재발 생존율(DRFS) 감소 등 치료 효과가 지속됐다6”고 덧붙였다.
박 교수는 “제외국에서는 거의 대부분의 나라에서 건강보험이 적용된다고 알고 있다[vii]. 국내에서도 조기 유방암 고위험군 환자들이 버제니오 보조요법의 건강보험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급여 적용이 조속히 확대되어, 모든 환자들이 소득 수준에 따라 차별받는 게 아닌 동등한 치료 기회를 누릴 수 있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i] 공경엽, 대한유방검진학회지, 2006;3:5-12
[ii] 한국유방건강재단, 유방암 정보, 한국 유방암 현황, 재발 및 사망률 (Last access on 2025-07-11)
https://www.kbcf.or.kr/bhi/bhi_info/present/recurrence_domestic.do
[iii] Byung Ho Son, et al. J Breast Cancer. 2006
Jun;9(2):134-144.
[iv] Early Breast Cancer Trialists'
Collaborative Group (EBCTCG). Lancet. 2015 Oct 3;386(10001):1341-1352.
[v] Sung-Won Kim, et al. Journal of Breast
Cancer 2006 DECEMBER ; Vol.9, NO.4: 270-292
[vi] Rastogi P, et al. J Clin Oncol.
2024;42(9):987-993.
[vii] Data on file
한국릴리 항암사업부 권미라 전무는 “한국릴리는 항암사업부 직원들뿐 아니라 다양한 부서의 담당자들이 국내 유방암 환자들에게 실질적인 치료 혜택을 제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며 “릴리는 버제니오라는 장기적으로 확인된 임상적 근거를 가지고 있는 치료제를 통해 환자들은 재발의 불안함을 줄이고 사회 전반적으로는 재발로 인해 발생하는 생산성 손실을 줄이고, 환자 개개인의 치료 비용에 대한 부담을 줄일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는 의지를 피력했다.
Appendix. 보도 참고자료 이미지 자료
(1)
재발 경험 유방암 환자의 재발 위험
(2) monarchE Cohort 1 임상연구 IDFS 그래프
(3) 버제니오 조기 유방암 적응증 급여 적용 주요 국가
버제니오는 전문의약품으로 반드시 의사의 처방에 의해 사용되어야 하며, 제품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식품의약품안전처 의약품사이트(https://nedrug.mfds.go.kr/)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버제니오의 효능과 유해사례에
대해서 담당 보건의료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일라이 릴리 앤드 컴퍼니 소개
일라이 릴리 앤드 컴퍼니(대표: 데이비드 A. 릭스, David A. Ricks)는 과학을 기반으로 인류가 보다 나은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치유하는 제약 기업(a medicine company)이다. 릴리는 지난 150여년 동안 인류의 삶을 변화시키는 발견을 선도해 왔으며, 오늘날 릴리의 의약품들은 전 세계 수천만 명 이상의 사람들을 돕고 있다. 릴리의 과학자들은 바이오테크놀로지, 화학, 유전 의학을 기반으로 당뇨병 치료의 재정의, 비만 치료 및 비만이 미치는 장기적인 폐해 완화, 알츠하이머병 치료의 진보, 심각한 면역 체계 장애의 치료, 치료가 어려운 암을 관리 가능한 질병으로 전환 등 세상에 존재하는 중요한 건강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발견에 기여해왔다. 릴리는 단 하나의 목표, 즉 더 많은 사람들이 더 나은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더 건강한 세상을 만들고자 노력하고 있다. 여기에는 세상의 다양성이 반영된 혁신적인 임상시험을 진행하고, 릴리의 의약품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고, 경제적 부담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노력하는 것을 포함된다. 릴리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lilly.com 혹은 lilly.com/news에서 확인 가능하다.
한국릴리 소개
한국릴리(대표: 존 비클, John Bickel)는 연구개발 중심의 세계적인 제약회사 일라이 릴리 앤드 컴퍼니의 한국법인이다. 한국릴리는 당뇨병, 암, 면역질환, 통증 등 다양한 영역에서 혁신적인 선진 신약들을 국내에 공급하고 한국의 환자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다. 국내 환자들의 삶을 변화시킬 수 있는 혁신 신약 개발을 위한 연구에 헌신하며, 지속적인 사회 공헌 활동을 통해 지역 사회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한국릴리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lilly.com/kr에서 확인 가능하다.
상표 및 상호
본 보도자료에 언급된 모든 상표 또는 상호는 회사의 자산이며, 다른 회사에 속한 상표 또는 상호가 이 보도자료에 참조되는 경우 해당 소유자의 자산이다. 본 보도자료 내 상표 및 상호는 오직 편의상 ®, TM 기호 없이 언급된 것이며, 이러한 언급이 회사 또는 해당 소유자가 관련 법률에 따라 최대한의 범위 내에서 회사 또는 그에 대한 권리를 주장하지 않는다는 지표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릴리가 다른 회사의 상표 및 상호를 사용하거나 표시하는 것이 다른 회사와의 관계, 다른 회사에 의한 보증 또는 후원을 암시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