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망막병증, 조기 검진으로 대비할 수 있습니다”
박스터코리아, 임직원과 당뇨병 환자 안저 검사 중요성 강조
- 임직원 대상, 주요 실명 원인질환 당뇨망막병증과 ‘디지털진단∙ AI 분석’ 접목된 최신 망막검사법 알아보는 사내행사 진행
- 안저 검사, 고화질 안저카메라와 AI 분석 알고리즘 접목되어 의료진 편의 높이는 형태로 발전
- 박스터의 안저카메라 레티나뷰 100 이미저 프로(RetinaVue 100 Imager PRO), 높은 촬영 정확도와 고품질 이미지 제공에 휴대성까지 갖춰
박스터코리아 임직원을 대상으로 당뇨병 환자에서 망막질환 검진의 중요성 강조하는 사내행사가 진행됐다.
당뇨병의 대표적인 합병증인 당뇨망막병증은 성인 실명의 가장 흔한 원인이지만, 조기 진단을 통해 적시에 관리하면 당뇨병 환자의 90%에서 시력 상실을 예방하거나 늦출 수 있다. 이런 이유로 당뇨병 환자들은 정기적으로 망막검사를 받는 것이 권장된다.1 하지만 국내 당뇨병 환자의 안저 검사 수검률은 약 32.2%로, 타 국가 대비 현저히 낮은 수치를 보이고 있다.
박스터코리아 임직원들은 작년 7월 출시된 자사의 레티나뷰 100 이미저 프로(RetinaVue 100 Imager Pro, 이하 레티나뷰) 안저카메라를 통해 당뇨망막병증을 검사하고 분석, 결과를 확인하는 과정을 체험해 봄으로써 디지털진단과 AI분석으로 효율적으로 당뇨망막병증을 모니터링 하는 방법을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다.
행사장에는 박스터의 안저카메라 레티나뷰의 망막사진 촬영 원리와, 촬영된 망막 이미지가 AI 알고리즘으로 분석되는 과정이 전시되었다. 또한, 현장에 모인 임직원들에게는 레티나뷰의 디지털진단과 AI분석의 접목 외에도 의료진의 사용 편의성을 높여, 당뇨 환자가 가까운 의원에서 간편하게 망막검사를 받을 수 있게 하여 환자의 망막검사 접근성을 높일 수 있다는 점이 소개되었다.
레티나뷰는 경량의 휴대용 안저카메라로 사용 편의성이 높으면서도 독점적인 비터치식(touchless)기능을 통해 고품질의 안저 이미지를 자동 캡처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특히, 고급 광학 시스템을 사용해 3mm 정도의 작은 동공에서도 별도의 약물로 동공을 확장시킬 필요 없이 편안하게 검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촬영된 안저 이미지는 별도의 AI 시스템으로 자동 분석되며, 당뇨망막병증 등의 안질환은 물론, 망막 구조와 망막 내 혈관 모양을 분석해 심혈관 질환 발생 위험도까지 예측 가능하다.
박스터코리아 임광혁 대표는 “박스터는 2021년 디지털 의료기기 전문회사인 힐롬(Hillrom)을 인수하면서 커넥티드 헬스케어 및 디지털 헬스케어 솔루션 분야의 포트폴리오를 강화했다. 인수한 제품 포트폴리오 중 처음으로 작년 7월 출시한 레티나뷰는 아시아 최초로 안저 검사에 AI분석이 결합되어 개선된 안저 검사의 트렌드를 보여주어, 임직원들과 이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다”며 “앞으로도 박스터코리아는 1차 진료 현장에서, 커넥티드 케어(connected care)를 통한 당뇨 환자의 안저 검사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제품을 안전하고 올바르게 사용하기 위해 사용 설명서 또는 사용 지침을 참조해야 한다.
박스터에 대해
매일 수백만 명의 환자와 보호자, 의료 전문가들이 가정과 병원, 진료실 및 다양한 진료 현장에서 사용되는 박스터의 진단, 중환자 치료, 신장, 영양, 병원 및 수술 의료용품 등의 선도적인 포트폴리오에 의지하고 있다. 박스터는 지난 90년 동안 생명을 구하고 유지하는 혁신과 이를 가능하게 하는 의료 전문가를 연결하는 교차점에 있어 왔다. 박스터의 의료 제품, 디지털 헬스 솔루션과 치료법은 100여 개국에 공급되고 있으며, 전 세계 직원들은 박스터가 쌓아 온 의료 혁신의 오랜 전통을 이어가며 다음 세대 헬스케어 혁신을 선도하고 있다. 더 자세한 내용은 www.baxter.com이나 Twitter, LinkedIn 및 Facebook에서 확인할 수 있다.
당뇨망막병증; 대한의사협회. https://www.ophthalmology.org/publication/pdf/2014_03.pdf
Aldebasi Y , Reddy P, Nair V, Ahmed M. Screening for diabetic retinopathy: the optometrist’s perspective. Clinical Optometry 2015:7 1–14. http://dx.doi.org/10.2147/OPTO.S36603
안수득, 유정옥. 당뇨병 환자의 안저검사 검 영향요인.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olume 32. No. 1, 44 - 55, April 2018.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1813742062493.page
KO-FLC146-2300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