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두천 27.7℃구름많음
  • 강릉 29.4℃흐림
  • 서울 29.1℃구름조금
  • 대전 30.2℃구름조금
  • 대구 32.3℃맑음
  • 울산 29.4℃연무
  • 광주 31.6℃맑음
  • 부산 26.6℃구름조금
  • 고창 32.1℃구름조금
  • 제주 29.6℃맑음
  • 강화 26.9℃흐림
  • 보은 28.2℃구름많음
  • 금산 30.3℃구름조금
  • 강진군 30.8℃구름많음
  • 경주시 32.9℃구름조금
  • 거제 28.1℃구름조금
기상청 제공
회원가입
thumbnails
핫이슈

릴리 중증 아토피피부염 치료제 ‘엡글리스’ 급여 출시 기자간담회 개최

한국릴리(대표: 존 비클, John Bickel)는 자사의 중증 아토피피부염 치료제 엡글리스(성분명: 레브리키주맙)의 국내 건강보험 급여 출시를 기념하여 2일 더플라자호텔서울에서 기자간담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1,2 엡글리스는 보건복지부 고시 제2025-102호 ‘「요양급여의 적용기준 및 방법에 관한 세부사항(약제)」 일부개정’에 따라 7월 1일부터 급여 기준이 설정됐다. 엡글리스의 급여 적용 투여 대상은 ‘3년 이상 증상이 지속되는 성인(만 18세 이상) 및 청소년(만 12세-만 17세, 체중 40kg 이상) 만성 중증 아토피피부염 환자로서, 1) 1차 치료제로 국소치료제(중등도 이상의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또는 칼시뉴린 저해제)를 4주 이상 투여하였음에도 적절히 조절되지 않고, 이후 전신 면역억제제(사이클로스포린 또는 메토트렉세이트)를 3개월 이상 투여하였음에도 반응(EASI 50% 이상 감소)이 없거나 부작용 등으로 사용할 수 없으면서, 2) 엡글리스 투여시작 전 EASI 23 이상인 경우다.1,2, 엡글리스는 중등도-중증 아토피피부염의 새로운 1차 생물학적 제제로, ‘인터루킨(Interleukin, 이하 IL)-13’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기전과 4주 1회 유지요법을 통해 아토피피부염의 주요 증상과 징후를 초기부터 관리하고, 장기 지속적으로 완화할 수 있다.1,2 이날 간담회에서 첫 번째 발표를 맡은 신민경 교수는 ‘중등도-중증 아토피피부염 치료의 의학적 미충족 수요’를 주제로 다양한 치료제 도입과 접근성 확대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아토피피부염 환자들의 어려움을 강조했다. 신 교수는 “아토피피부염은 얼굴, 목 등 노출 부위 증상과 가려움증, 그로 인한 심리적 어려움과 삶의 질 감소, 동반 질환으로 인한 부담이 큰 질환이다”며, “특히 2020년 자료에 따르면 중증 아토피피부염 환자들은 치료에도 불구하고 일년 중 절반 이상인 평균 192일이라는 빈번하고 긴 재발을 겪는다”고 설명했다. 국내 아토피피부염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중등도-중증 아토피피부염 환자에게는 전신 치료가 강력하게 권고된다. 그러나 국내 아토피피부염 환자 중 중등도-중증 환자 비율은 2002년부터 2019년 사이 30.9%에서 39.7%로 증가했지만, 해당 환자군에서 전신 면역억제제 처방률은 여전히 5% 수준에 그쳤다. 신 교수는 “중증 아토피피부염 환자들은 나이와 면역상태 등에 따라 각 치료제에 대한 치료 효과나 부작용 등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치료 옵션에 대한 미충족 수요가 존재했다,,”며, “엡글리스를 비롯한 생물학적 제제부터 JAK 억제제까지 새로운 치료제들이 급여 적용되어 환자 부담이 10%로 줄어든 만큼 더욱 적극적인 치료를 고려해야 한다3”고 밝혔다. 두 번째 발표를 맡은 고현창 교수는 ‘중등도-중증 아토피피부염의 새로운 1차 생물학적 제제 엡글리스’를 주제로 엡글리스의 기전상 특징과 주요 임상 데이터를 소개했다. 고 교수는 "엡글리스가 표적하는 IL-13은 아토피피부염의 염증과 가려움증에 주요하게 작용하는 사이토카인이다1,,"라며, 엡글리스의 장점을 ‘강력한 시작’, ‘장기간 지속’, ‘월 1회 유지요법’, ‘안전성 프로파일’ 등 네 가지 키워드로 소개했다. 고 교수는 “임상시험에서 엡글리스 투여 환자는 2주차부터 가려움 완화 효과가, 4주차부터 피부 증상 호전이 확인된 만큼, 중등도-중증 아토피피부염 환자에게 엡글리스 치료 시 초기부터 빠른 개선을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엡글리스는 허가 기반이 된 임상시험인 ‘ADvocate-1’, ‘ADvocate-2’에서 16주차 기준 IGA 0 또는 1 도달률이 각 43.1%, 33.2%, EASI 75 도달률이 각 58.8%, 52.1%, EASI 90 도달률이 각 38.3%, 30.7%로 위약 대비 유의한 개선을 확인한 바 있다(p<0.001).1,10 이어 고 교수는 “엡글리스는 월 1회 유지요법으로 지속적인 임상적 유효성과 안전성 프로파일을 확인했다”며 ADvocate-1, ADvocate-2의 1년(52주) 데이터를 소개했다. “1년간의 엡글리스 유지요법 후 IGA 0 또는 1 도달률은 76.9%(p<0.01), EASI 75 도달률은 81.7%(p<0.05), EASI 90 도달률은 66.4%(p<0.01)로 위약 대비 높았으며, 새로운 안전성 이슈가 보고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1 한국릴리 면역사업부 김태현 전무는 “릴리는 지금까지 전 세계 150만 명 이상의 면역 질환 환자들을 위해 혁신적인 치료제를 공급하는 동시에, 면역 질환 영역의 새로운 혁신을 탐구하기 위한 연구개발의 확장을 지속해왔다”며, “이제 엡글리스에 대한 접근성이 개선된 만큼 국내 아토피피부염 환자들에게 새로운 치료 희망을 제공하길 기대하며, 한국릴리 면역사업부는 국내 의료진 및 환자들에게 치료제를 빠르고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계속해서 최선을 다할 것이다”고 밝혔다. 엡글리스는 전문의약품으로 반드시 의사의 처방에 의해 사용되어야 하며, 제품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식품의약품안전처 의약품안전나라 의약품통합정보시스템(https://nedrug.mfds.go.kr/)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엡글리스의 효능과 유해사례에 대해서 담당 보건의료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일라이 릴리 앤드 컴퍼니 소개 일라이 릴리 앤드 컴퍼니(대표: 데이비드 A. 릭스, David A. Ricks)는 과학을 기반으로 인류가 보다 나은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치유하는 제약 기업(a medicine company)이다. 릴리는 지난 150여년 동안 인류의 삶을 변화시키는 발견을 선도해 왔으며, 오늘날 릴리의 의약품들은 전 세계 수천만 명 이상의 사람들을 돕고 있다. 릴리의 과학자들은 바이오테크놀로지, 화학, 유전 의학을 기반으로 당뇨병 치료의 재정의, 비만 치료 및 비만이 미치는 장기적인 폐해 완화, 알츠하이머병 치료의 진보, 심각한 면역 체계 장애의 치료, 치료가 어려운 암을 관리 가능한 질병으로 전환 등 세상에 존재하는 중요한 건강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발견에 기여해왔다. 릴리는 단 하나의 목표, 즉 더 많은 사람들이 더 나은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더 건강한 세상을 만들고자 노력하고 있다. 여기에는 세상의 다양성이 반영된 혁신적인 임상시험을 진행하고, 릴리의 의약품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고, 경제적 부담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노력하는 것을 포함된다. 릴리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lilly.com 혹은 lilly.com/news에서 확인 가능하다. 한국릴리 소개 한국릴리(대표: 존 비클, John Bickel)는 연구개발 중심의 세계적인 제약회사 일라이 릴리 앤드 컴퍼니의 한국법인이다. 한국릴리는 당뇨병, 암, 면역질환, 통증 등 다양한 영역에서 혁신적인 선진 신약들을 국내에 공급하고 한국의 환자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다. 국내 환자들의 삶을 변화시킬 수 있는 혁신 신약 개발을 위한 연구에 헌신하며, 지속적인 사회 공헌 활동을 통해 지역 사회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한국릴리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lilly.com/kr에서 확인 가능하다. 사이클로스포린(Cyclosporine) 메토트렉세이트(Methotrexate) 평균 습진중증도평가지수(Eczema Area and Severity Index) 동 약제 투약개시일 6개월 이내에 국소치료제 및 전신 면역억제제 투여 이력이 확인되어야 함 엡글리스 250mg을 2주 1회 투여를 받고 국소 또는 전신 구제 치료 없이 16주차에 'IGA 0 또는 1' 또는 EASI 75를 달성한 경우 엡글리스 식약처 허가사항(의약품안전나라 의약품통합정보시스템). Available at: http://nedrug.mfds.go.kr (accessed on 2025-07-01) 보건복지부 고시 제2025-101호, published on 2025-06-24. available at: https://www.mohw.go.kr/board.es?mid=a10409020000&bid=0026&act=view&list_no=1486569&tag=&nPage=1 보건복지부 고시 제2025-102호, published on 2025-06-26. available at: https://www.mohw.go.kr/board.es?mid=a10409020000&bid=0026&act=view&list_no=1486602&tag=&nPage=1 국가건강정보포털. 건강정보. 아토피피부염. 질병관리청. available at: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cntnts_sn=5450 (accessed on 2025-07-01) Zuberbier T et al. Patient perspectives on the management of atopic dermatitis. J Allergy Clin Immunol.2006;118(1);226-232. Lee, Hyun Ji, et al. Population-based cohort study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prevalence, severity profile, and treatment modalities used in Korean atopic dermatitis patients. Scientific reports. 2024 Apr 5;14(1):7979 Masahiro Kamata, et al. Optimal Use of Jak Inhibitors and Biologics for Atopic Dermatitis on the Basis of the Current Evidence. JID Innovations (2023), Volume 3 Paola Facheris, et al. The translational revolution in atopic dermatitis: the paradigm shift from pathogenesis to treatment. Cell Mol Immunol. 2023 May;20(5):448-474. Wu JJ, et al. Predictors of nonresponse to dupilumab in patients with atopic dermatitis Ann Allergy Asthma Immunol 2022;129:354–359 Silverberg J, et al. Two Phase 3 Trials of Lebrikizumab for Moderate-to-Severe Atopic Dermatitis. N Engl J Med. 2023 Mar 23;388(12):1080-1091. doi: 10.1056/NEJMoa2206714. Epub 2023 Mar 15. Okragly AJ, et al. Dermatol Ther (Heidelb). 2023;13(7):1535–1547. 2. Andrews A-L, et al. JBC. 2002;277(48):46073–46078. Eli Lilly and Company. Home> Science > DISEASE AREAS > Immunology, Available at: https://www.lilly.com/disease-areas/immunology (accessed on 2025-07-01)


KeyDr 1TV

더보기

KeyDr 2TV

더보기

뉴스

더보기

포토


랭킹뉴스


배너

프리미엄 골드 뉴스



로고 클릭시 전체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학술

더보기

특집

더보기


학회

더보기
대한건선학회, 국내 건선 환자 치료를 위한 새로운 건선 중증도 및 치료 목표 제시
대한건선학회, 국내 건선 환자치료를 위한 새로운건선 중증도 및치료 목표 제시 - 대한건선학회, 세계 건선의 날 맞아 기자간담회 개최하고 국내 건선 환자 치료를 위한 새로운 건선 중증도와 치료 목표에 대한 전문가 합의안 소개 - 새로운 건선 중증도 기준안에 있어 기존 건선 중증도 지수(PASI) 외에 환자의삶에많은영향을미치는특수부위건선포함필요성전달 대한건선학회(회장최용범,건국의대피부과교수)는10월 29일‘세계 건선의날’을맞아광화문코리아나호텔에서기자간담회를개최하고국내건선환자치료를위한새로운건선중증도와치료목표를제시했다고29일밝혔다. 건선은 환자의전반적인삶의질에깊은영향을미치는만성염증성피부질환으로[i] 이에대한체계적인접근과치료방안의중요성이점점더부각되고있다.이에대한건선학회에서도건선질환의올바른치료방법을제시하고,환자들의건강한삶의질향상에기여하고자질환교육을비롯해치료가이드라인제정,치료접근성강화를위한다양한활동을진행하고있다. 이번 기자간담회는지난해발표한판상건선의치료접근방식에대한전문가합의안을바탕으로,올해추가적으로국내건선의중증도를새롭게정의하고치료목표를제시하기위해마련되었다.이날간담회는대한건선학회홍보이사박은주교수(한림대학교성심병원피부과)의사회와환영사를시작으로대한건선학회재무간사정혜정교수(국립


병원

더보기

의사회

더보기
하남시맨발걷기협회, 아르테힐링센터 백석균 원장 초청 발 건강 특강 성료
하남시맨발걷기협회, 아르테힐링센터 백석균 원장 초청 발 건강 특강 성료 지역 사회와 함께하는 건강 특강 전문가가 전하는 실용적인 건강 관리법 하남시, 맨발 걷기 건강 프로그램 확대 아르테힐링센터 백석균 원장이 하남시맨발걷기협회 초청으로 하남시 자족어울림센터에서 '발 건강과 K-REPOS 교정기법' 특강을 진행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날 강연에는 이현재 하남시장, 서춘성 하남시사회복지협의회 명예회장, 박은미 하남시학교운영위원협의회 회장, 맨발걷기협회 회원 등 300여 명이 참석했다. 백석균 원장은 K-REPOS 교정기법에 대해 "발신경을 기본으로 죽어있던 몸의 신경을 자극해 평소에 사용하지 않았던 근육들을 활성화시키는 것이 핵심"이라며, "K-REPOS 교정기법은 신체의 숨겨진 잠재력을 깨우고 전반적인 신체 퍼포먼스를 향상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라고 강조했다. 강연에서 백석균 원장은 맨발 걷기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맨발 걷기는 단순한 운동이 아니라 우리 몸의 균형을 회복하고 전반적인 웰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건강 실천”이라고 말했다. 또한 일상에서 쉽게 실천할 수 있는 발 건강 관리 방법을 참석자들과 공유했다. 이현재 하남시장은 하남시의 맨발 걷기


의료분과

더보기

세부융합회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프리미엄 골드 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