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두천 15.0℃맑음
  • 강릉 23.0℃맑음
  • 서울 17.4℃맑음
  • 대전 17.8℃맑음
  • 대구 20.1℃맑음
  • 울산 15.8℃맑음
  • 광주 18.1℃맑음
  • 부산 17.7℃맑음
  • 고창 13.2℃맑음
  • 제주 17.3℃맑음
  • 강화 13.9℃맑음
  • 보은 14.8℃맑음
  • 금산 15.3℃맑음
  • 강진군 14.6℃맑음
  • 경주시 17.7℃맑음
  • 거제 17.9℃맑음
기상청 제공
회원가입

고위험 임신 집중치료 지원, 저출산 극복 및 미래세대 건강을 위한 새로운 대책

대한산부인과학회 (이사장 배덕수)

저출산 고령화 사회는 국가의 존립 위기와 직결한 최대 난제이다. 지난 십 수년간 정부는 저출산을 극복하기 위하여 많은 정책과 예산을 쏟아내었지만 아직도 이 깊은 그늘에서 빠져나갈 빛은 보이지 않는다. 저출산 극복은 임신, 출산뿐 아니라 보육, 교육, 결혼, 취업, 주거 등 사회 전반적인 문제들에 대하여 국가와 범사회적 정책과 지원이 필요하다. 정부는 그 동안 출산율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자연분만 본인부담금 경감, 제왕절개수술 본인부담률 인하, 초음파 급여화, 고위험 임신 입원비 본인부담률 인하, 무통주사 급여화, 보조생식술 급여화 등 임신•출산과 관련한 임신부의 진료비 부담을 줄이는데 초점을 맞춘 정책을 펴고 있다. 그러나 임신•출산 비용 경감만으로는 출산율을 효과적으로 올리는데 한계가 있고, 오히려 분만 인프라 붕괴의 역효과를 초래할 수 있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총 출생아수는 2000년 63만 4501명에서 2014년 43만 5435명으로 약 3분의 2로 감소하였다. 앞으로 몇 년 후에는 가임기 연령의 여성인구 자체가 줄어 출산율을 높이더라도 장기적인 인구감소는 피할 수 없는 현실이 된다. 이와 같은 현실에서 출산율을 높이기 위한 노력도 중요하지만 어렵게 임신을 한 임신부가 건강한 임신을 유지하여 건강한 아기를 출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특히 최근 결혼 연령이 늦어지고 평균 출산연령이 늦어지면서 고령 임신부가 급격히 증가하였고, 더불어 고위험 임신도 꾸준히 증가하면서 유산, 사산, 선천성기형, 조산 등 다양한 합병증이 증가하였다. 이 중 조산의 경우 2000년에는 전체 분만의 3.8%를 차지하던 것이 2014년에는 6.7%로 두 배 가까이 증가하였다. 또한 조산의 절대적인 수치에 있어서도 2000년 23만 919명이 조산한 반면 2014년에는 29만 86명이 조산하여 21.6% 증가하였다 (그림 1). 조산은 신생아 사망의 가장 중요한 원인이고, 생존을 하더라도 다양한 미숙아 합병증이 발생한다. 또한 장기적으로는 뇌성마비를 비롯한 다양한 신경발달장애가 생길 수 있고, 청소년기 및 성인기의 고혈압, 당뇨, 비만 등의 성인병의 발생과도 관계가 있다. 따라서 조산을 비롯한 고위험 임신 치료에 대한 집중적인 지원은 건강한 미래세대를 위한 새롭고 효과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 




조산아의 예후를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인자는 바로 분만 시 임신주수이다. 조기양막파수, 조기진통, 자궁경관무력증, 고혈압, 당뇨, 태아발육제한 등 조산이 예견되는 고위험 임신부는 대개 3차 병원에서 고위험 집중치료를 받게 되며, 치료의 가장 큰 목적은 임신기간을 연장하여 더 건강한 아기를 출산하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임신 22주에서 25주 사이에 임신기간을 연장하면 신생아 생존율이 매일 2-3%씩 증가한다. 스테로이드, 자궁수축억제제, 항생제를 비롯한 다양한 조산 고위험 임신 집중치료는 임신기간을 연장시킴으로써 신생아 사망률을 감소시킬 뿐 아니라 호흡곤란증후군, 감염, 뇌출혈, 신경발달장애 등의 미숙아 합병증을 예방하는데 효과적이다. (별첨자료 참조)

고위험 임신 집중치료에 따른 임신기간 연장은 신생아중환자실 입원기간 및 신생아집중치료비 감소에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대한산부인과학회가 서울과 경기 지역의 대표적인 2개 상급종합병원 자료를 분석한 결과, 분만 시 임신주수가 증가할수록 신생아중환자실 재원일수는 급격히 감소한다. 예를 들어 임신 25주 미만에 태어난 미숙아의 신생아중환자실 평균 재원일수는 120일 가까이 되지만, 28-30주에는 약 70일로 줄고, 34주 전후로는 약 20일, 35주 이후에는 평균 5일 미만으로 감소한다. 이에 따라 신생아중환자실 진료비도 급격히 감소한다. 임신 25주 미만에는 평균 7천4백만원 이상의 진료비가 드는 반면, 27-29주에는 약 4천 5백만원, 33-34주에는 약 1천만원, 35주 이후로는 평균 1~2백만원 수준으로 감소한다. 본 조사에는 신생아중환자실 입원기간 중 진료비만 계산을 한 것으로 퇴원 후 영유아기는 물론 청소년기 및 성인기에 이르기까지 미숙아 관련 합병증 치료에 필요한 진료비용까지 계산하면 임신기간 연장이 전체 의료비 감소에 미치는 효과는 더욱 클 것이다.

결론적으로 고위험 임신 집중치료는 신생아 생존율을 높이고, 더 건강한 아기를 출생할 수 있게 하고, 전체 의료비를 감소시키는 등 비용-효과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고위험 임신 집중치료를 위해서는 24시간 산모-태아 모니터링이 가능한 시설과 장비가 필요하고, 산부인과 및 소아과 전문의, 전공의, 간호사 등의 전문 의료인력이 필수적이다. 이는 중환자실 수준의 진료행위가 투입이 되는데, 우리나라는 이에 대한 수가나 보상은 매우 부족한 현실이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정부는 2014년부터 권역별 고위험 산모-신생아 통합치료센터 지원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고위험 산모-신생아 통합치료센터는 소수의 대학병원만 선정되기 때문에 우리나라 전체 고위험 임신부 집중치료 수요에는 턱없이 못 미친다. 또한 정부는 저출산과 맞물려 사회적 큰 이슈가 되고 있는 분만취약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환으로 정부는 분만취약지가산, 고위험분만가산, 고위험임산부 집중관찰입원료, 분만관리료 등의 다양한 지원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정책들은 무너지고 있는 우리나라 분만 인프라 회복과 고위험 임신 집중치료 개선에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한다. 앞으로 고위험 임신 집중치료 및 분만관련 지원을 더 확대하고, 현재 추진 중인 정책들이 조속히 현실화 될 수 있도록 정부와 학회 공동의 노력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현재 우리나라 모성건강을 증진시키고, 건강한 미래세대를 낳을 수 있기를 간절히 기대한다. 


2000-2014 우리나라 연도별 총 출생아 수 및 만삭아, 조산아 수

연도

총 출생아

만삭

조산(37주 미만)

조산율

2000

634,501

608,522

23,919

3.77%

2001

554,895

528,852

23,804

4.29%

2002

492,111

466,329

21,520

4.37%

2003

490,543

463,478

21,997

4.48%

2004

472,761

446,461

21,794

4.61%

2005

435,031

410,142

20,521

4.72%

2006

448,153

422,054

21,681

4.84%

2007

493,189

463,841

25,314

5.13%

2008

465,892

437,814

25,702

5.52%

2009

444,849

417,899

25,374

5.70%

2010

470,171

440,785

27,823

5.92%

2011

471,265

442,648

28,166

5.98%

2012

484,550

453,677

30,376

6.27%

2013

436,455

407,886

28,229

6.47%

2014

435,435

405,969

29,086

6.68%










분만 주수에 따른 신생아 1인당 평균 총 진료비 (A) 및 신생아중환자실 입원일수


분만 주수

분만 주수에 따른 신생아 1인당 총 진료비 ()

분만 주수에 따른 신생아 중환자실 입원일수 ()

<25

74,161,427

119

26

63,887,971

99

27

47,549,518

71

28

46,105,338

69

29

45,412,641

70

30

27,122,575

43

31

19,794,903

33

32

18,061,910

30

33

10,740,197

17

34

11,280,193

21

35

2,311,025

5

36

2,509,150

4

37

4,842,565

7

38

1,279,699

3

39

1,543,960

3

40

1,241,655

3




조산 고위험 임신 치료의 효과


1. 산전 스테로이드 치료: 신생아 사망률 감소, 신생아 예후의 향상 및 신생아 중환자실 입원율 감소   

임신 24주에서 34주 사이에 조산의 위험이 있는 임신부에게 산전 스테로이드를 투여하는 것은 태아의 폐성숙을 촉진시켜 신생아 호흡곤란증후군을 예방하고, 신생아 사망, 괴사성 장염, 뇌실내 출혈의 위험을 감소시킨다고 잘 알려졌다 [1,2]. 1994년 미국 National Institute of Child Health and Development (NICHD)의 Consensus Development Conference에서는 조산의 위험이 높은 임신부에게 산전 스테로이드 투여를 조산아 합병증 예방을 위한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권고하고 있다[3]. 여러 가지 논문을 종합하여 수 천명을 대상으로 발표된 메타분석논문에 의하면 산전 스테로이드 치료는 다음과 같이 신생아의 예후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이미 밝혀졌다[4]. 결론적으로, 조산이 예측되는 산모에게 산전 스테로이드 치료는 신생아의 사망 및 이환을 의미 있게 감소시키는 가장 효과적인 치료 중의 하나이다. 


임신 24-34주 사이 조산에서 산전 스테로이드 치료의 효과[4]

신생아 사망률 31% 감소

신생아 호흡곤란증후군 34% 감소

신생아 뇌실내출혈 46% 감소

신생아 괴사성 장염 54% 감소

신생아 중환자실 입원율 20% 감소

생후 48시간 이내 신생아 전신감염 44% 감소


또한 최근에는 임신 24주 이전의 조산에 있어서도 산전 스테로이드의 효과에 대해 대규모 연구 및 전향적 연구 결과들이 발표됨에 따라서 미국산부인과학회에서는 임신 23주 이전에도 조산이 임박한 고위험 임신부의 경우 산전 스테로이드 투여를 고려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다[5]. 


임신 22-23주 사이 조산에서 산전 스테로이드 치료의 효과

신생아 사망률 30% 감소[6]

생후 18-22개월에 평가한 신경발달장애 40% 감소[7]



2. 조기진통에서 자궁수축억제제 치료: 임신주수 연장 효과 및 산전 스테로이드를 치료 시간을 확보 

조기진통은 조산의 원인의 반 정도를 차지한다. 조기진통이 동반된 임신 34주 이전의 산모는 임신기간을 연장하기 위한 치료로서 입원하여 자궁수축을 억제하기 위한 약물을 투여 받는다. 그러나, 모든 종류의 자궁수축억제는 종종 산모 측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고위험 집중치료실에서의 모니터 및 간호가 필요하다. 자궁수축억제제의 가장 중요한 효과는 신생아 사망률 및 이환율을 감소시키기 위한 산전스테로이드가 투여되는 시간을 확보하는 것이다. 이 이외에 조기진통 산모에서 자궁수축 억제제의 사용은 많은 연구 결과 및 이를 종합한 메타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이미 잘 알려져 있다. 


조기 진통에서 자궁수축억제제 치료의 효과[8]

48시간 이내 분만율 32% 감소

7일 이내 분만율 20% 감소



3. 조기양막파수에서 예방적 항생제 치료: 임신기간 연장 및 신생아 이환율 감소 

조기양막파수는 조산의 1/3의 원인을 차지하며 고위험 집중치료를 요하는 대표적인 산과적 고위험 질환이다. 임신 34주 이전의 조기양막파수의 경우, 가능한 임신기간을 연장시키려는 치료를 하게 되지만, 융모양막염이 동반되거나 자궁 내 감염이 의심이 되는 경우 신속한 분만을 요한다. 이처럼 조기양막파수의 경우에는 상행감염에 의한 자궁 내 감염이 동반될 가능성이 증가하게 된다. 조기양막파수에서 예방적 목적의 항생제 치료는 임신기간을 연장시키고, 신생아의 예후를 향상시킨다는 것은 이미 1990년대 후반부터 잘 알려져 왔다. 최근 여러 논문의 연구 결과를 종합한 메타분석을 통한 조기양막파수 산모에서 예방적 항생제의 치료의 효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조기양막파수에서 예방적 항생제 치료의 효과[9]

융모양막염 34% 감소

48시간 이내 분만율 29% 감소

신생아 감염 33% 감소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에 대한 계면활성제 치료 17% 감소

신생아 호흡곤란에 대한 산소치료의 필요성 12% 감소

신생아 뇌초음파 이상 20% 감소




[참고문헌]
1. Liggins GC, Howie RN. A controlled trial of antepartum glucocorticoid treatment for prevention of th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in premature infants. Pediatrics 1972;50:515-25.
2. Crowley PA. Antenatal corticosteroid therapy: a meta-analysis of the randomized trials, 1972 to 1994. Am J Obstet Gynecol 1995;173:322-35.
3. Effect of corticosteroids for fetal maturation on perinatal outcomes. NIH Consens Statement 1994;12:1-24.
4. Roberts D, Dalziel S. Antenatal corticosteroids for accelerating fetal lung maturation for women at risk of preterm birth.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06 Jul 19;(3):CD004454.
5. Management of Preterm Labor. Practice Bulletin No. 159: Obstet Gynecol. 2016 Jan;127(1):e29-38. doi: 10.1097/AOG.0000000000001265.
6. Mori R, Kusuda S, Fujimura M; Neonatal Research Network Japan. Antenatal corticosteroids promote survival of extremely preterm infants born at 22 to 23 weeks of gestation. J Pediatr 2011;159:110-4.
7. Carlo W, McDonaldS, FanaroffA, Vohr BR, Stoll BJ, Ehrenkranz RA. Association of antenatal corticosteroids with mortality and neurodevelop-mental outcomes among infants born at 22 to 25weeks gestation. J Am Med Assoc2011;306:2348-58.
8. Neilson JP, West HM, Dowswell T. Betamimetics for inhibiting preterm labour.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14 Feb 5;(2):CD004352. doi: 10.1002/14651858.CD004352.pub3.
9. Kenyon S, Boulvain M, Neilson JP. Antibiotics for preterm rupture of membranes.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13 Dec 2;(12):CD001058. doi: 10.1002/14651858.CD001058.pub3.


배너


뉴스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