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요폐를 동반한 전립선 비대증 환자에서 하이트린(Terazosin)과하이네콜(Bethanechol) 사용의 유용성 “전립선비대증 환자는 추운 날씨, 음주, 항히스타민제(감기약, 피부알러 지약)에노출되면 급성요폐의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런 경우 폴리카테터 를 유치하고 하이트린(Terazosin)과하이네콜(Bethanechol)을 같이 처방 하면 급성요폐가 해결될 수 있고, 자연배뇨의 가능성이 높아진다.” 최준호 원장 늘푸른 비뇨의학과 환자 과거력 및 증상 71세 남성 환자로 2015년경부터 야간뇨(3회), 빈뇨(2시간), 세뇨, 지연뇨를 증상으로 localclinic에서 전립선 비대증 진단 하에 tamsulosin0.4mg과 finasteride 5mg을복용해오고 있었다. 1달전쯤 감기약 투약 후 소 변증상이 악화되다가 급성 요폐(823cc)가 왔고 다니던 비뇨기과에서 폴리카테터를 유치하였다 그림 1. 급성요폐 소견 복용하던 전립선약을 계속 투약하게 하면서 3주에 걸쳐 1주마다폴리카테터를 제거하고 자연 배뇨를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계속 요폐가 지속 되어 본원으로 전원되어 왔다. 진단 및 검사 일단 폴리카테터는 제거하고, 검사는 urine CaseReview
대사증후군을 가진 발기부전을 동반한 전립선비대증환자에서 하이트린(Terazosin) 사용의 유용성 “전립선비대증을 가진 중년 남성들은 고혈압, 당뇨병 등만성 질환과 발기부전을 동반된 경우를 흔히 볼 수 있다. 하이트린(Terazosin)과 타다라필(Tadalafil)저용량 매일요법으로 배뇨 증상과 발기능이 동시에 개선된 증례를 살펴보겠다.” 하윤석 교수 칠곡경북대학교병원 비뇨의학과 환자 과거력 및 증상 58세 남성 환자로 당뇨병 치료 중 발생한 발기부전과 하부요로 증상으로 내분비내과에서 의뢰되었다. 당뇨병과고혈압 약물 치료 중이라고 하였다. 진단 및 수술 전 처치 배뇨일지상 하루10-12회의 빈뇨 소견을 보였으며, 야간뇨도 2-3회있었다. PSA는 0.56ng/mL, 소변검사는 당뇨(glycosuria)외에는 특이 소견을 보이지 않았다. UFM 상 최대 요속은 10cc/sec, 잔뇨감은 100cc로 체크되었다. DRE 상 firm한양상을 보였고, TRUS상 midline cyst가보였고<그림>, size는33cc정도였다.IPSS/QOL 설문지 증상 점수는 14/3점 IIEF-5는 3점으로중증도의 하부요로 증상과 심각한 발기부전을 호소하였다. 그림.
최유신 교수 중앙의대 외과 과거력 및 주요 증상 73세 여자 환자로 3일전부터 시작된 찌르는 듯한 우상복부 통증, 2일전부터 시작된 발열 주소로 응급실을 경유하여 입원하였다. 환자는 14년전 고혈압, 10년전 당뇨병을 진단받아 조절 중이었으며, 특별한 수술 과거력은 없었던 자이다. 내원 당시 혈압 130/80, 맥박수 90, 체온 38.3℃로 확인되었다. 키 157.1 cm, 몸무게 60.7 kg로 BMI 24.6이었다. 검사 결과 내원 당시, 혈액검사상 WBC 13.08 109/L (Neu 86%), Hb 11.4 g/dl, PLT 190 109/L, AST/ALT 81/223 IU/L, TB/DB 1.3/0.7 mg/dl, r-GT 579 IU/L, Na/K/Cl 141/3.6/108 mEq/L, BUN/Cr 11/0.48 mg/dl, hs-CRP 132.83 mg/L이었고, 혈액 배양 검사상 균은 동정되지 않았다. CT 검사상, 2 cm 담낭결석 2개가 보였고, 담낭 전체가 커져 있고 담낭벽이 두꺼워져 있는 급성 담낭염에 합당한 소견을 보였다. 처방 환자는 과거 2차례, 우상복부의 경련성 통증이 있었다고 하였으나, 소화제 및 진통제 복용으로 호전되었던
생물학적 제제에 불응인 활동성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에서 젤잔즈Ⓡ정(토파시티닙 시트르산염) 처방 증례 이승근 교수 부산대학교병원 류마티스내과 종양괴사인자 알파 억제제 및 T세포와 B세포 억제제와 같은 기존의 생물학적 제제 치료에도 불구하고 질병활성도 조절이 불량한 중증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에 대해서 야누스키나제를 억제하는 새로운 작용기전을 가진 경구용 생물학적 제제인 토파시티닙(젤잔즈Ⓡ정)이 유용한 치료 방법이 될 수 있겠다. 증례 연령: 56세 성별: 여성 진단명: 류마티스 관절염(6년 전 진단), 고혈압(7년 전 진단) 주요 증상 및 병력: 3개월 동안 손목, 손가락, 무릎, 팔꿈치 관절통이 있어서 본원을 방문하였으며, 10개 이상의 소관절의 부종과 압통, 항CCP항체 27.98 U/mL, 류마티스 인자 10.7 IU/mL, ESR 106 mm/hr, CRP 5.94 mg/dL의 소견으로 류마티스 관절염을 진단받았던 환자로 메토트렉세이트를 포함한 항류마티스 약제와 생물학적 제제를 치료받았으나 지속적으로 관절통을 호소함. 과거 치료력: 비스테로이항염제와 글루코코르티코이드를 포함하여 메토트렉세이트, 하이드록시클로로퀸, 타크로리무스를 사용했으나 DAS28-ESR
항 TNF 제제 치료에 견디기 힘든 중증 류마티스관절염 환자에서 Tofacitinib (토파시티닙) 치료 증례 김호연 교수 건국대학교병원 류마티스내과 정민영 전임 건국대학교병원 류마티스내과 "장기간 메토트렉세이트(MTX)를 포함한 항 류마티스 약제 치료에 반응이 없는 중증 류마티스 관절염(Rheumatoid arthritis, RA) 환자들에게는 항 TNF 제제를 투여하게 된다. 그러나 항 TNF제제에 부작용이 있거나, 치료 효과가 부족한 환자들은 JAK inhibitor인 Tofacitinib (토파시티닙)이 추천되고 있다. 특히 장기간 주사제 치료에 거부감이 있는 RA 환자들은 이 경구용 Tofacitinib이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증례 연령 : 64세 성별 : 여성 주요 증상 및 병력 환자는 6년 전부터 다발성 관절통과 반복적인 관절의 부종, 압통으로 메토트렉세이트(MTX)를 포함한 항 류마티스 약제를 수년간 복용하였으나 큰 호전이 없어 본원으로 전원되었다. 임상 경과 경구용 스테로이드(prednisolone 5 mg), NSAIDs, MTX 15 mg을 주로 투여하면서 경과를 관찰 중이었으나, ESR은 28 mm/hr, CRP는 1.31
급성 에스결장 게실염에서 Moxifloxacin 정맥용 제제 처방 증례 이재임 교수 가톨릭의대 외과 "에스결장 주위 농양을 동반한 급성 에스결장 게실염 환자에서 배농술과 함께 moxifloxacin 투약 결과 호전되었다. 배농술과 함께 보조요법으로 moxifloxacin 투약은 효과적이며, 안전하다." 과거력 및 주요 증상 44세 남성 환자로 내원 10일 전부터 배뇨 시 하복부 통증을 경험하고 내원 2일 전부터 발열 증상을 보였다. 환자에게 특별한 과거력은 없었고, 내원 당시 혈압은 90/60 mmHg, PT 90회/min, BT 38.5°C이었다. 검사 결과 내원 당시, 혈액 검사상 WBC 12.67 [4.0-10.0] 109/L (Seg% 72.6%), Hb 17.0 g/dL, PLT 356 109/L, BUN/Cr 11.2/1.20 mg/dL, AST/ALT 22/41이었다표 1, 그림 1. 혈액 배양 검사상 균은 동정되지 않았고, 농양 배양 검사에서 Escherichia Coli가 동정되었다. 복부 CT 검사 결과 에스결장 주위 농양을 동반한 에스결장 게실염의 소견을 보였다그림 2. 처방 및 경과 환자는 에스결장 게실염으로 인한 에스결장 주위 농양으로
Case Review중증의 성인 활동성 류마티스관절염에서 젤잔즈®정(토파시티닙 시트르산염) 처방 증례 김현숙 교수(순천향대학교 서울병원 류마티스내과) “중증의 성인 활동성 류마티스관절염에서 젤잔즈®정의 사용은 폐질환이 있는 고령의 환자에게서도 유효성이 잠재적인 위험성을 상회하며, 주사제에 거부감이 심한 환자에게서 적절한 경구용 생물학적제제로 유효하다.” (증례)연령: 72세성별: 여성진단명: 류마티스관절염(11년 전 진단), 52년 전 폐결핵으로 인한 만성 파괴폐질환(14년 전 진단)주요증상 및 병력:양측 손목을 포함한 10개이상의 소관절 부종과 압통, 반복적인 주관절과 어께 관절의 활막염으로 류마티스관절염을 진단받고 메토트렉세이트(MTX)를 포함한 항류마티스약제를 복용중, 좌폐의 만성 파괴폐질환은 수년간 변화 없음과거 치료력: 경구용 스테로이드(프레드니솔론 10-15 mg), NSAIDs, MTX 15 mg/주, HCQ 400 mg, 레플루로나마이드 10 mg 에도 DAS28 7.1(ESR/CRP 76/3.28)(mm/hr, mg/dL)로 질병활성도가 높아 2014년 5월 17일부터 휴미라®주(아달리무맙) 투여. 투여 3회 후, DAS28 3.4(ESR
- 10월 24일 오후 3시 창립 80주년 기념식 및 미래관 개관식 - - ‘제약바이오 비전 2030 선포식’ 등 미래 도약 의지 다져 - - 공동 심포지엄 등 산학 교류 학술행사도 열어 - 한국제약바이오협회(회장 노연홍)는 오는 24일 오후 3시 서울 방배동 협회 회관에서 창립 80주년 기념식을 개최한다고 20일 밝혔다. 광복의 해 1945년 조선약품공업협회로 출범한 한국제약바이오협회가 2025년 창립 80주년을 맞아 산업의 뿌리를 되새기고 ‘K-제약바이오 강국’을 향한 미래를 준비한다는 계획이다. 오는 10월 24일 협회 본관 4층 강당에서 개최되는 협회 창립 80주년 기념식은 정부, 국회, 유관단체를 비롯해 협회의 역대 회장 및 이사장, 제약바이오산업계 관계자들이 다수 참석 예정이다. 기념식은 박주아 KBS 아나운서가 사회를 맡아 1, 2부로 나뉘어 진행된다. 1부는 발달장애인 연주단원으로 구성된 하트브라스앙상블의 축하공연을 시작으로 산업의 길을 연 선구자 등 선배 제약인들의 공적을 기리는 추모의 시간을 갖는다. 이어 ‘80년 도전과 혁신, 미래를 열다’라는 주제의 산업·협회 홍보영상 상영과 80주년 기념사업 경과보고 뒤 ‘한국제약바이오협회 80년사’
‘한국 간질환의 현주소와 우리의 과제’라는 주제로 10월 20일 ‘간의 날’ 기념식 개최 l 10월 20일 스물여섯 번째 간의 날, 한국간재단과 대한간학회 공동으로 기념식과 토론회 개최 l 내년부터 도입되는 C형간염 국가 검진의 의의와 향후 국민 건강 증진을 위한 활용 방안을 논의 l 미래에 간 건강을 가장 크게 위협한 대사이상 지방간질환의 명명법 변화의 의의와 향후 국민 건강을 위해 가야할 방향을 제시 한국간재단(유병철 이사장)이 주최하고 대한간학회(김윤준 이사장)가 주관하는 ‘간(肝)의 날’ 기념식및 토론회가 10월 20일,웨스틴조선 서울에서 진행되었다. 한국간재단과 대한간학회는 건강한 사회를 만들고 국민들에게 간질환에 대한올바른 정보와 이해를 제공하고자 매년 10월 20일을 '간의 날'로 지정하였으며, 올해로스물여섯 번 째를 맞이하였다. 2000년부터국내에서 시작한 ‘간의 날’은 세계보건기구 (WHO) 가 지정한 ‘세계 간염의 날(매년 7월 28일)’보다 10년 이상 앞서 출발한 기념일로 국민 간 건강 수호에 앞장섰다는평가를 받고 있다. 1부 간의 날 기념식에는 한국간재단 유병철 이사장, 대한간학회 정숙향 회장, 김윤준 이사장 등을 비롯하여 더불어민주당
Keydr. Power Interview 발달지연 아동 위해 시스템과 제도개선 함께 해주세요 - 대한소아청소년행동발달증진학회 박양동 이사장
KeyDr Power Interview 아이들 보는 것이 기쁨과 행복 - 대한소아청소년행동발달증진학회 김영훈 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