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조윈, 설포라판 관찰임상 결과 발표 세미나 성료 주)조윈은 15개 암전문 병원이 참가하여 암 환자를 대상으로 설포라판을 관찰 임상한 “관찰임상 결과발표” 세미나를 분당 미라클 병원에서 진행했다. 관찰 임상 결과 80%가 넘는 암환자들로 부터 성공적인 관찰임상 결과를 얻었으며, 이를 통해 암환자들에게 더욱 효과적인 통증관리 및 항암관리의 새로운 지평이 열릴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설포라판은 미국 존스홉킨스대의 연구를 통해 암 유발물질을 제거하는 데 효과가 있다는 것이 밝혀진 브로콜리 새싹 추출물로, 인체 면역력을 높이고 항산화 작용이 뛰어나 암세포의 발현과 성장을 억제할 수 있으며 당뇨에도 효과가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설포라판은 상온에서 효능이 소멸되는 문제가 있어 효능을 극대화 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조윈은 추출 후 효능이 소멸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주)조윈은 오랜 연구를 통해 설포라판의 정밀 추출과 보존에 성공한 바이오 벤처기업과 독점 계약을 체결하였다. ㈜조윈은 냉동으로 장기 보존 가능한 설포라판 제품을 사용한 “수퍼라판” 브랜드를 런칭 할 예정이며, 국내 뿐 아니라 해외 수요까지 고려하여 내년 1분기 내로 대량 생산을 할 수 있
제약바이오기업 지원을 위한 전직원 교육 - 글로벌 제약바이오 기업으로부터 최신 분석장비 응용 실무교육 수료 - □ 케이메디허브(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이사장 양진영)는 의약생산센터 품질관리팀 전직원이 글로벌 제약바이오 분석기기 기업인 한국애질런트 초청으로 최신 분석장비 응용실무교육을 수료하였다. ○ 한국애질런트는 화학 분석, 생명 과학, 의학 진단 분야를 선도하는 세계 최고의 분석기기 전문 업체 회사이다. ○ 이번 교육 과정은 총 96시간으로 품질관리팀 연구원들은 분석 장비 별로 GC(Gas Chromatography), ICP-MS(Inductively Coupled Plasma Mass Spectrometer),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등 최신 분석 장비의 기본 이론 및 원리, 심화 응용실무에 대한 전문 교육이 이루어졌다. ○ 최신 분석 장비의 전문성을 함양할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강의 위주가 아닌 참여와 실습 교육으로 각 분석 장비의 전문가에게 교육을 제공 받았다. ○ 이를 통해 분석 장비에 대한 전문성 및 응용능력을 확보하여 공공기관 최초의 CDMO (Contract Developme
충북대학교병원 충북지역암센터 2023 충북지역 암관리사업 평가대회 성료 -음성군, 제천시, 진천군 보건소 최우수기관 선정 충북대학교병원(병원장 최영석) 충북지역암센터(소장 류동희)는 지난 14일 청주 아모르아트컨벤션에서 ‘2023년 충북지역 암관리사업 평가대회’를 성황리에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평가대회는 충청북도와 14개 시·군 보건소 등 관계자 1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기관 표창 수여, 충북지역암센터 사업 결과 보고, 공연 등이 진행됐다. 최우수 수상기관으로는 음성군보건소(국가암검진 부문), 제천시보건소(재가암관리 부문), 진천군보건소(재가암관리 부문)가 선정됐다. 이어 우수 수상기관으로는 괴산군 보건소(국가암검진 부문), 옥천군보건소(재가암관리 부문)가 선정됐다. 그동안 충북지역암센터 및 사업 관계자들은 국가 암 조기검진 사업 홍보, 교육, 캠페인 등을 적극적으로 실시하는 등 충북 도민의 암 조기 발견 및 완치율을 향상을 위해 꾸준히 노력해 왔다. 이번 행사로 국가암검진 및 재가암관리 사업 발전에 기여하는 담당자들을 격려하고 우수사례를 공유하는 소통의 시간을 가졌다. 류동희 소장은 “충북도민의 건강증진을 위해 애쓰신 보건소 관계자분들께 감사드린다.
유럽서 호평받고 CES도 진출 - 재단 뇌파측정 지원받은 ㈜지엘 제품, 메디카서 성능 인정받아 - □ 케이메디허브(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이사장 양진영)가 보유한 뇌신호 측정 및 분석 기술을 지원받은 기업의 제품이 유럽시장에서 호평을 받으면서 성장하고 있다. ○ 케이메디허브는 사용자의 머리에 전극을 붙여 심신의 상태에 따라 각각 다르게 나타나는 뇌의 활동 상황을 측정하는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 사용자의 인지능력 상태나 심리적 안정의 정도에 따라 각기 다른 뇌파가 발생하기 때문에, 재단 연구진들은 뇌파의 파형을 분석해 사용자의 상태를 분석하고 있다. □ 재단은 보유중인 뇌파 신호 분석 기술을 ㈜지엘에 지원해주었다. ○ ㈜지엘은 가상현실 콘텐츠를 활용한 인지재활 시스템을 연구하는 기업이다. ○ 양측은 치매, 파킨슨 등 인지장애 환자들의 상태를 확인하면서 인지재활 훈련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을 공동 개발했다. 현재 임상 시험과 인허가를 지원하고 있으며, 나아가 사업화 영역 지원까지 확장할 계획이다. ○ ㈜지엘은 지난 2017년 설립 이후 재단과 지속적으로 협업하며 가상현실 콘텐츠와 핸드트래킹 기술을 이용한 인지재활 시스템 연구개발을 진행해 왔다. 최근에는
모임 가기 전 한방에 예뻐질 방법은? 매끈한 피부로 연말 모임 주인공 되어보기! n 노폐물 제거 위한 세안, 피부 타입에 맞는 클렌징 제품 사용하고 수분 손실 막아야 n 피부 보호하는 각질 적당히 제거하고 수분 크림 여러 번 덧발라야 보습력 높일 수 있어 n 줄기세포 셀테라피 피부 재생 주사, 피부 탄력 및 항노화 작용에 효과 탁월 어느덧 송년회와 모임으로 가득한 연말 시즌이 다가왔다. 마스크를 필수적으로 착용하고 모임이 제한되었던 지난 몇년과는 달리 특히 올해는 각종 모임이 다시금 활발하게 재개되고 있다. 이에 따라 오랜만에 많은 사람들과 마주하는 자리인 만큼 더 예뻐지고 몰라보게 변신한 모습으로 등장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기도 한다. 그러나 부쩍 추워진 날씨는 차가운 바람은 물론 공기 중 습도를 낮아지게 만들어 피부 수분을 앗아가고, 이렇게 건조해진 피부는 탄력까지 빠르게 잃어버리며 푸석거리기 일쑤다. 더군다나 각질층이 더욱 두꺼워지면서 피부 표면이 거칠고 민감해지며 가려움증과 붉은 반점 등을 동반할 수 있기 때문에 보습과 관리가 각별히 필요하다. 연말모임을 앞두고 매끈한 피부로 되돌리기 위해서는 먼저 세안이 가장 중요하다. 특히 노폐물을 효과적으로 제거
바이엘 코리아, 만성 심부전 치료제 ‘베르쿠보®’ 국내 발매 100일 기념 심포지엄 개최 “베르쿠보, 심부전 악화 환자에서 가장 강력한 무기 될 것” ᅬ 베르쿠보, 올해 9월 좌심실 수축기능 저하 만성 심부전 환자 대상 건강보험 급여 적용 보건복지부 고시 제2023- 165호 (2023.08.31) ᅬ 미충족 수요 높았던 심부전 악화 환자에서 베르쿠보의 임상현장 처방 증례 공유 Armstrong PW et al. Vericiguat in Patients with Heart Failure and Reduced Ejection Fraction.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2020;382 (20):1883-92 바이엘 코리아(대표이사: 이진아)는 만성 심부전 치료제 베르쿠보®(성분명: 베리시구앗, Vericiguat)의 국내 발매 100일을 기념하는 '베르쿠보 런칭(Verquvo Launching) 100일 기념 심포지엄’을 지난 7일 개최했다.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강석민 교수(세브란스병원 심장내과)와 유병수 교수(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심장내과)가 좌장을 맡아 베르쿠보 보험 급여 적용에 따른 만성 심부전 치료 패러다임의 변화에
한국제약바이오협회(회장 노연홍) 글로벌 이 슈 파노라마 발간 한국제약바이오협회(회장 노연홍)는 제약바이오산업의 국내외 주요 동향을 파악하고 대응전략을 모색하기 위한 산업 보고서 '글로벌 이슈 파노라마'를 발간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이슈 파노라마는 제약바이오의 주요 현안을 분석, 산업에 대한 넓은 시야로 세밀한 부분까지 파악해 최적의 전략을 수립하도록 돕겠다는 취지로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협회 연구팀은 향후에도 글로벌 제약바이오 관련 정책 동향과 산업에 대한 다양한 주제를 수시로 분석‧발간한다는 계획입니다. 최근 7호가 발간되어 안내차 메일을 드리오니 많은 관심을 부탁드립니다. (다운로드 페이지 링크 : https://www.kpbma.or.kr/sub/select/00000000048/00000000207/134) [글로벌 이슈 파노라마] 보건의료 혁신을 향한 도전, ARPA-H 外 □ 신약개발 모달리티, ADC 동향 분석 ㅇ 모달리티(Modality)는 의약품이 표적을 타깃하는 방법 또는 약물이 약효를 나타내는 방식 - 지난 20여년 동안 17종류 이상의 모달리티가 새롭게 개발됨 ㅇ 항체-약물 접합체(ADC, Antibody Drug Conj
KIMES 2023 현장 스케치
한국애브비, 강직척추염 보험급여 적용 계기, 린버크 기자간담회 개최 - 린버크 강직척추염 환자 대상 보험급여 계기로 기자간담회 열고, 최신 임상연구 데이터 및 치료 지견 공유 - 린버크는 2/3상 임상연구 통해 염증 완화 및 관해 도달율, 통증 등에 유의한 개선 효과 확인, 치료2-4주차부터 빠른 효과 발현8-10 - 린버크는 종양괴사인자알파저해제 또는 인터루킨-17A 억제제로 치료 실패한 중증 활동성 강직척추염 환자 치료 시 급여 적용, JAK 억제제 간 교체 투여 시에도 급여 인정돼 효과적 치료 기반 마련돼11 한국애브비(대표이사 강소영)가 자사의 선택적, 가역적 JAK1억제제 린버크(Rinvoq, 성분명 유파다시티닙, Upadacitinib)의 중증 활동성 강직척추염 환자 대상 보험급여 적용을 계기로, 강직척추염 치료와 관련한 최신 치료 지견을 살펴보는 기자간담회를 서울 안다즈강남에서 개최했다고 13일 밝혔다. 린버크서방정15밀리그램은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1일 1회 15 mg용법 용량으로 기존 치료에 대한 반응이 적절하지 않은 성인의 활동성 강직척추염의 치료에 허가돼 있다. 이 날 기자간담회에서는 경희대병원 류마티스내과 홍승재 교수의 발표를 통해 임상
노바티스 CAR-T 치료제 ‘킴리아’, 미국혈액학회에서 최신 연구 데이터 3건 발표 ᄋ 2023년 미국혈액학회에서 킴리아 관련 의미 있는 최신 연구 데이터 발표 ᄋ 75세 이상 고령의 재발성 또는 불응성 미만성거대B세포림프종 환자, 실제 진료환경에서 75세 미만 환자와 유사한 객관적 반응률 및 완전 관해율 확인 ᄋ 재발성 또는 불응성 소포성림프종 환자 대상으로 진행한 ▲3년 추적 연구 결과, 고위험 하위그룹 포함 지속적이고 높은 반응률 확인, ▲7.3개월 추적 연구 결과 최적 반응률 97.5%, 전체 생존율 97.4% 확인 한국노바티스㈜(대표이사 사장 유병재)는 지난 9일부터 12일까지 진행된 미국혈액학회에서 자사의 CAR-T 치료제 킴리아(Kymriah: 티사젠렉류셀)의 실제 진료환경 내 연구와 장기 추적 연구 결과 등 총 3건*이 발표됐다고 13일 밝혔다.1,2 (*국내 허가 적응증 기준) 첫 번째 데이터는 국제 조혈모세포 이식 연구센터(CIBMTR)에 등록된 재발성 또는 불응성 미만성거대B세포림프종(이하 r/r DLBCL, Relapsed/Refractory Diffuse Large B Cell Lymphoma) 환자 1,375명을 대상으로 한 실제 임
▲노인포괄평가(CGA) 기반 보험수가 제도화 ▲노인 건강 증진 및 질병예방을 위한 주요 감염병 질환에 대한 국가필수예방접종(NIP) 추가 도입 ▲노인 환자 대상의 방문-재택 의료 확대 및 활성화를 위한 제도 마련 등 3대 정책 개선 방안 촉구 대한노인병학회(회장 황성희, 이사장 조비룡)는 이재명 정부의 국정기획위원회에 고령층 건강 보호와 사회적 부담 완화를 위한 ‘3대 보건정책 제안서’를 공식 전달했다고 밝혔다. 이번 제안은 이재명 정부가 국정과제 수립을 위해 범국민 의견을 수렴 중인 가운데, 초고령사회에진입한 국내 현실에 맞춰 고령자 보건정책의 근본적인 전환을촉구하는 내용으로,‘진단-예방-돌봄‘을 중심축으로 한3대 전략 과제를 담고 있다. 이번 정책제안서에는 고령자의건강 보호와국가 의료비및 사회적부담 경감을위한 3대 전략 과제로 ▲노인포괄평가(CGA) 기반 보험수가 제도화▲노인 건강 증진 및 질병 예방을 위한 주요 감염병 질환에 대한 국가필수예방접종(NIP) 추가 도입 ▲노인 환자 대상의 방문-재택 의료 확대 및 활성화를 위한 제도 마련이 포함됐다. w 진단: 노인포괄평가(CGA) 기반보험수가 제도화 첫 번째 과제로는 고령자 진료의 기초이자 노인의학의핵심
▲ 건국대병원 정형외과 이동원 교수 전 세계 무릎 관절 권위자들이 모여 내측 반월 연골판 후방 기시부 파열의 진단과 치료, 재활에 대한 국제 합의안을 도출했다. 이번 연구에는 총 56명의 전문가가 참여해 3차에 걸친 설문조사(델파이 방식)를 진행했으며, 전체 문항의 98%가 합의 기준(75% 이상 동의)을 충족할 만큼 높은 일치도를 보였다. 한국에서는 건국대병원 이동원 교수를 비롯해, 명지병원 김진구 교수, 강남세브란스병원 김성환 교수, 한양대구리병원 정규성 교수 등 국내 무릎 권위자 4명이 참여해 국제 무대에서 한국 의료진의 전문성을 입증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정형외과 분야의 세계적 학술지 관절경(Arthroscopy)에 게재될 예정이다. 내측 반월 연골판 후방 기시부 파열은 무릎 관절 내의 연골판이 정강이뼈에 붙어 있는 '뿌리(root)' 부위가 끊어지는 질환으로, 중년 여성, 특히 좌식 생활을 많이 하는 아시아권에서 흔한 퇴행성 병변이다. 이 부위가 파열되면 연골판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해 무릎 안쪽 관절염이 급속히 진행될 수 있다. 그러나 그동안은 진단이 어렵고 치료 방법에 대한 기준도 뚜렷하지 않아 임상 현장에서 혼선이 적지 않았다. 이에 대해 건국
한국릴리(대표 존 비클)는 16일 ‘버제니오 미디어 세션’을 개최하고 조기 유방암의 최신 지견과 재발 고위험 환자들을 위한 수술 후 보조요법의 중요성에 대해 소개했다. 고려대학교안암병원 종양내과 박경화 교수는 ‘재발 고위험군 삶의 의미 있는 변화: 조기 유방암 수술 후 보조요법의 임상적 역할’을 주제로 국내 유방암 질환 및 치료 환경과 조기 유방암의 재발 위험성과 수술 후 보조요법의 중요성 등에 대해 설명했다. 박 교수는 “조기 유방암은 생존율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재발 고위험일 경우의 예후는 그렇지 않은 경우와의 차이가 크다[i]. 재발할 경우 거듭된 재발을 경험하는 경우가 많고[ii], 생존율은 상대적으로 매우 낮아지기 때문에1 완치를 목표로 적극적인 치료를 할 수 있는 마지막 단계이다”며 “특히, HR+/HER2- 유방암 재발 고위험군은 초기 1~2년 사이에 재발률이 가장 높다 [iii]. 또한 조기 유방암은 수술 후에도 미세 전이가 남아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지속적이고 적극적인 치료가 중요하다[iv]”고 말했다. 또한 박 교수는 “특히 국내에서는 30~40대의 젊은 여성 유방암 환자가 증가하고 있는데, 이들은 사회와 가정에서 맡은 역할이 많기에
대한외과초음파학회는 2025 KSUS Breast Biopsy Symposium을 오는 7월 12일(토) 서울 삼정호텔에서 개최하였다. 2012년 12월에 창립된 이 심포지엄은 매년 개최되며, 초음파 유도 및 입체정위적 유방생검에 관한 최신 지견을 발표하고 논의하는 자리다. 국내외 최고 전문가들이 강사로 초청돼 진공보조흡입 유방생검을 포함한 다양한 유방생검 기술과 병리학적 진단에 대해 다뤘다. 본 심포지엄은 실질적인 임상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관련 분야 전문가들의 지식 함양과 진료 역량 강화를 도모하였다. 이번 강연은 진공 보조 흡입 생검술의 국내 최고의 권위자인 박해린 교수(차의대 강남차병원 외과)가 좌장을 맡아 심포지엄을 진행했으며 강연주제로는 Breast Elastography: How to Perform and Integrate Into a "Best-Practice" Patient Treatment Algorithm(맘마외과 차경호)을 시작으로 Tissue Processing Overview: Steps & Techniques for Breast Histopathology (연세의대 병리과 석재연), The diagnostic and ther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