α-1차단제 장기간 복용과 파킨슨병 발병위험 사이의 연관성 Association of Glycolysis-Enhancing α-1 Blockers with Risk of Developing Parkinson Disease Simmering JE, Welsh MJ, Liu L, Narayanan NS, Pottegard A JAMA Neurol. 2021;78(4):407-413. doi:10.1001/jamaneurol.2020.5157 서론 파킨슨병은 지속적으로 악화되는 신경퇴행성 질환으로, 전세계에서 1억명 이상의 환자가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파킨슨병의 발병 기전은 정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으며 여러 가지 병인이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 중 에너지 대사의 이상은 이전부터 파킨슨병의 발생과 연관될 것으로 예상되어 이를 개선하는 약제가 파킨슨병을 예방하는데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추측되는 추세이다.Terazosin은 포도당 분해에서 ATP를 생산하는 첫번째 효소인 phosphoglycerate kinase 1(이하 PKG1)에 결합하여 그 활성을 증가시킨다. 이 약제는 뇌혈류장벽(blood brain barrier)을 건너갈 수 있고, 뇌에서도 세포 내 A
큰 직경의 신결석과 전립선비대증이 동반된 환자에서 연성내시경하 신결석 제거술 수술 후 요관부목(D-J stent) 삽입 중 Terazosin 투여로 인한 하부요로증상 및 측복부 통증 개선 효과“ 신결석과 전립선비대증이 동반된 환자에게서 결석수술 후 요관부목 삽입과 관련된 통증 및 하부요로증상에 대하여 용량조절이 쉽고 효과도 우수한 것으로 알려진 하이트린정(Terazosin)을 사용하는 것이 빠른 회복 및 남은 결석 배출에도 어느 정도 도움이 될 수 있겠다.” 김성대 교수 제주의대 제주대병원 비뇨의학과 환자 과거력 및 증상 54세 남성 환자로 수개월 전부터 시작된 육안적 혈뇨를 주소로 한달 전 개인비뇨의학과의원 내원후 큰 병원을 권유받아 타병원으로 내원하였다. 한달 전 타병원에서 비조영증강 복부 단층 촬영장치(non-enhanced CT) 촬영 결과, 2.5cm 정도 큰 직경의 신우요관결석 확인되어 2회 체외충격파쇄석술(Extracorporeal Shock Wave Lithotripsy, ESWL) 시술을 시행하였으나 결석의 크기 변화 없이 크기가 그대로인 상태라고 이야기를 들었으며, 시술 효과가 없어 수술적 치료를 위해 본원으로 전원되었다.환자는 과거력상 고
편측 갈색세포종 환자의 복강경하 부분 부신 절제술 전 혈압조절을 위한 일차 혈압강하제로서의 Terazosin의 안전성과 효과 “하이트린(terazosin)은 선택적 α-1 antagonist로 갈색세포종으로 진단받고 복강경 부분 혹은 전 부신 절제술 전 혈압 조절을 위해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1차 약물이다.” 송기현 교수 강원대학교 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비뇨의학과 환자 과거력 및 증상 47세 여성 환자로 평소 간헐적인 두통, 어지러움, 구역감, 빈혈 등으로 검사한 외부병원 복부 CT상 좌측 4.5*2.9cm의 부신종물이 발견되어 내분비내과로 내원하였다. 환자는 평소 고혈압이 있었으나 약물은 복용하지 않았다고 한다. 진단 및 수술 전 처치 24시간 소변검사상 카테콜아민 상승(norepinephrine 107.3 ug/day, 정상 <80 ug/day)과 메타네프린 상승(normetanephr ine 1.06mg/day, 정상 0mg/day) 소견을 보여 복부 CT 검사 결과와 함께 갈색세포종으로 진단하였다. 수술 전 처치를 위해 하이트린(terazosin) 1mg을 하루 한번 2주간 투여하였다.수술 후 잔존 부신이 명확히 보인다. 수술적 치
하부 요로 증상 환자의 치료 시 사정장애가 심한 환자에서 하이트린정(Terazosin)으로의 교체 투여의 효과 “하부요로증상의 치료에 사용되는 알파차단제들 중 성적활동이 활발한 환자들, 특히 고령이 아닌 비교적 젊은 환자들을 치료 시 좋은 치료 효과를 유지하면서 사정장애를 최소화할 수 있는 약물로써 하이트린정(Terazosin)은 훌륭한 선택이 될 수 있다.” 최 훈 교수 고려의대 고대안산병원 비뇨기의학과 환자 과거력 및 증상 47세 남성 환자로, 수개월간 지속된 지속뇨 및 잔뇨감 등의 증상으로 내원하였다. 자전거를 즐기는 취미 생활 외에 과거력상 특이사항이 없었다. 진단 및 검사 전립선초음파검사를 포함한 기본적인 요검사 및 배양검사를 포함하여, International Prostate Symptom Score (IPSS) 설문으로 환자의 증상을 진단하였다. 전립선초음파검사 결과, 전립선 크기가 18g으로, 직장수지검사 결과상 표면도 매끄럽고 고무처럼 만져졌으며 nodule은 없었다. IPSS 설문지 증상 점수는 21점, 삶의 질 점수 5점으로 일상 생활이 괴롭다고 표현하고 있었다.혈액검사에서 PSA 2.1ng/dL, 소변검사에서 백혈구도 보이지 않았고 균이
급성요폐를 동반한 전립선 비대증 환자에서 하이트린(Terazosin)과하이네콜(Bethanechol) 사용의 유용성 “전립선비대증 환자는 추운 날씨, 음주, 항히스타민제(감기약, 피부알러 지약)에노출되면 급성요폐의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런 경우 폴리카테터 를 유치하고 하이트린(Terazosin)과하이네콜(Bethanechol)을 같이 처방 하면 급성요폐가 해결될 수 있고, 자연배뇨의 가능성이 높아진다.” 최준호 원장 늘푸른 비뇨의학과 환자 과거력 및 증상 71세 남성 환자로 2015년경부터 야간뇨(3회), 빈뇨(2시간), 세뇨, 지연뇨를 증상으로 localclinic에서 전립선 비대증 진단 하에 tamsulosin0.4mg과 finasteride 5mg을복용해오고 있었다. 1달전쯤 감기약 투약 후 소 변증상이 악화되다가 급성 요폐(823cc)가 왔고 다니던 비뇨기과에서 폴리카테터를 유치하였다 그림 1. 급성요폐 소견 복용하던 전립선약을 계속 투약하게 하면서 3주에 걸쳐 1주마다폴리카테터를 제거하고 자연 배뇨를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계속 요폐가 지속 되어 본원으로 전원되어 왔다. 진단 및 검사 일단 폴리카테터는 제거하고, 검사는 urine CaseReview
대사증후군을 가진 발기부전을 동반한 전립선비대증환자에서 하이트린(Terazosin) 사용의 유용성 “전립선비대증을 가진 중년 남성들은 고혈압, 당뇨병 등만성 질환과 발기부전을 동반된 경우를 흔히 볼 수 있다. 하이트린(Terazosin)과 타다라필(Tadalafil)저용량 매일요법으로 배뇨 증상과 발기능이 동시에 개선된 증례를 살펴보겠다.” 하윤석 교수 칠곡경북대학교병원 비뇨의학과 환자 과거력 및 증상 58세 남성 환자로 당뇨병 치료 중 발생한 발기부전과 하부요로 증상으로 내분비내과에서 의뢰되었다. 당뇨병과고혈압 약물 치료 중이라고 하였다. 진단 및 수술 전 처치 배뇨일지상 하루10-12회의 빈뇨 소견을 보였으며, 야간뇨도 2-3회있었다. PSA는 0.56ng/mL, 소변검사는 당뇨(glycosuria)외에는 특이 소견을 보이지 않았다. UFM 상 최대 요속은 10cc/sec, 잔뇨감은 100cc로 체크되었다. DRE 상 firm한양상을 보였고, TRUS상 midline cyst가보였고<그림>, size는33cc정도였다.IPSS/QOL 설문지 증상 점수는 14/3점 IIEF-5는 3점으로중증도의 하부요로 증상과 심각한 발기부전을 호소하였다. 그림.
휴젤 웰라쥬, 일본 팝업스토어 오픈…오프라인 강화 나서 - 8일 일본 앳코스메 도쿄, 9일 시부야 스크램블스퀘어에 연달아 오픈 [사진설명] 휴젤웰라쥬 ‘일본 앳코스메 도쿄 팝업스토어’ 전경 글로벌 토탈 메디컬 에스테틱 전문 기업 휴젤㈜(대표집행임원 손지훈)의 클리니컬 더마 코스메틱 브랜드 웰라쥬가 지난8일 일본 도쿄에 있는 앳코스메 도쿄, 9일 시부야 스크램블스퀘어에잇따라 팝업스토어를 오픈했다고 9일 밝혔다. 앞서 웰라쥬는 지난 6월일본 3대 버라이어티 스토어 ‘플라자(PLAZA)’ 주요 매장 약 60여 곳에 입점을 완료하며 일본 온,오프라인 진출을 본격화한 바 있다. 특히, 이번 팝업스토어가 열린 앳코스메 도쿄는 일본의 뷰티 전문 H&B스토어로뷰티에 관심이 높은 일본 여성층을 집중 공략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웰라쥬는 이번 팝업스토어를기점으로 한 다양한 온,오프라인 행사를 통해 일본 내 브랜드 인지도를 넓혀간다는 계획이다. 이번 팝업스토어에서는 웰라쥬의 대표 제품 ‘원데이키트’를 비롯해, 국내베스트 제품으로 떠오른 ‘리얼 히알루로닉 블루 100 앰플’과 신제품 ‘리얼 시카 카밍 95 크림’ 등 웰라쥬의 주요 제품들을 선보인다. 웰라쥬
‘K-mRNA 컨소시엄’ 지원군 합류, 백신 개발 탄력 - 동아ST·이셀 참여, 컨소시엄의 전주기 역할 분담 관련 시너지 증대 - - 내년 상반기 조건부 허가 이은 백신 상용화 목표로 개발 순항 - - 델타변이 바이러스 전용 백신도 후보물질 선정 등 별도 개발중 - 차세대 코로나19 백신 개발을 위해 결성된 ‘K-mRNA 컨소시엄(이하 컨소시엄)’의 연구개발 행보가 지원군의 가세에 힘입어 한층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한미약품, 에스티팜, GC녹십자와 한국혁신의약품컨소시엄(KIMCo)으로 구성된 컨소시엄은 국내 전문의약품 개발·생산 주요 제약사인 동아ST와 바이오 원부자재 전문기업 이셀이 컨소시엄에 추가 참여했다고 9일 밝혔다. 지난 6월 컨소시엄 출범이후 사업 진행이 가속도를 내면서 원부자재 기업 등이 협력기관으로 합류하는 모양새다. 동아ST는 국내 제약바이오산업계의 대표적 의약품 R&D기업 중 하나로, 풍부한 경험과 역량을 바탕으로 컨소시엄의 향후 mRNA 백신 관련 IND(임상시험계획승인신청), 임상개발, 인·허가 등을 적극 지원하게 된다. 이셀은 국내 최초로 일회용 세포배양기, 일회용 믹서백 등 일회용 바이오 프로세싱장비 및 소모품을 자체 개발한
의료인재 양성 휴스타 교육 4기 시작 - 양진영 이사장 “말은 제주로·의료산업은 대구로 모을 것”-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이사장 양진영, 이하 ‘재단’)이 6일 오후 1시 ‘휴스타(HuStar) 대구 의료산업 혁신아카데미 4기 교육’ 입학식을 갖는다. 휴스타 대구혁신아카데미는 전국 최초 지자체 주도로 기업에 당장 투입가능한 현장형 실무자를 양성하기 위한 인재교육 프로젝트로, 의료·ICT·미래자동차·로봇·물산업 5가지 분야로 이루어진다. 재단은 이 가운데 의료인재 양성 교육을 담당하고 있다. 구직자들을 대상으로 5개월의 재단 교육과 최대 3개월의 기업인턴 과정으로 추진되는 사업으로, 졸업생은 바로 현장투입이 가능하도록 길러지기 때문에 취업이 바늘구멍 통과보다 어렵다는 19~21년 사이 진행된 1~3기 교육 입교생 67명 중 수료 56명, 취업 48명, 진학 5명의 성과를 거둔 바 있다. 재단은 19년 8월부터 휴스타 대구 의료산업 혁신아카데미 사업을 진행해오고 있다. 대구시 지원을 통해 교육생들은 매달 1백만원의 교육지원금을 받을 수 있고, 취업희망 업종의 기업에서 실제 필요한 내용들을 배울 수 있어 취업자들로부터 인기를 끌고 있다. 단 출결이 불량하거나
경남제약, 블루베리NFT와 공동연구한 KAIST 박현규 교수의 새로운 COVID-19 PCR 진단 기술 SCIE급 국제학술지 개제… “체외진단 의료기기 신사업 박차” 경남제약은 블루베리NFT, KAIST 산학협력단과 협력하여 범유행 전염성 바이러스인 SARS-CoV-2 코로나 바이러스 및 pH1N1 인플루엔자 A 바이러스(약물 내성 변종 포함) 감염여부를 환자 비강점액 및 타액으로부터 간편하고, 정확하게 육안으로 식별이 가능한 비색 진단 바이오센서를 개발하고, 관련 연구결과가 SCIE급 국제학술지 ACS Sensors에 개제되었다고 8일 밝혔다. 앞서 KAIST 박현규 교수는 핵산 증폭기술 분야의 국내 최고 권위자로 경남제약의 연구비 지원으로 기존의 고가의 장비와 전문적인 인력을 필요로 하는 RT-qPCR 기반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 진단 기술을 3종의 핵산기반 등온증폭 기술(NESBA, EC-LAMP, SP-HAMP)로 대체하고, 항원 유전인자의 증폭효율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킨 바 있다. 비색진단법 기술의 원리를 간단히 살펴보면 감염환자로부터 얻은 바이러스 RNA를 CRISPR/dCas9의 가이드 RNA에 결합시키고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와 과산화효소가 이어서 결
l 올해로 11년째 인지장애 어르신 및 가족들을 위한 일상예찬 캠페인 l 인천·경기로 확대한 예술치유 프로그램, 인지장애 어르신과 가족 함께 참여 대한치매학회(이사장 최성혜)와 국립현대미술관(관장 김성희)은 10월 21일(화)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에서‘2025 일상예찬: 함께 만드는 미술관’을 개막했다. 올해로 11년째를 맞은 이 프로그램은 인지장애 어르신과 가족이 미술 관람과 표현 활동 등 예술을 통해 감각을 깨우고 일상의 즐거움을 되새기는 문화예술 프로그램으로, 오는 10월 30일(목)까지 총 6회(10월 21·22·24·28·29·30일)에 걸쳐 진행된다. ’일상예찬: 함께 만드는 미술관’은 현대미술 감상에 그치지 않고, 작품을 기반으로 한 표현·신체 활동을 결합해 인지·정서·신체 기능을 함께 자극하는 다감각 예술치유 프로그램이다. 올해는 국립현대미술관의 소장품 전시 ‘한국현대미술 하이라이트’를 중심으로, 참가자들은 주요 작품 감상과 교구를 활용한 표현 활동을 통해 기억과 감정을 되살린다. 또한 미술관 안팎을 거닐며 미술관 건축과 인왕산이 어우러진 풍경 속에서 자연의 빛과 공기를 느끼는 ‘예술 산책’이 이어진다. 참가자들은 미술관의 식물과 자연을 관찰하며
- 10월 24일 오후 3시 창립 80주년 기념식 및 미래관 개관식 - - ‘제약바이오 비전 2030 선포식’ 등 미래 도약 의지 다져 - - 공동 심포지엄 등 산학 교류 학술행사도 열어 - 한국제약바이오협회(회장 노연홍)는 오는 24일 오후 3시 서울 방배동 협회 회관에서 창립 80주년 기념식을 개최한다고 20일 밝혔다. 광복의 해 1945년 조선약품공업협회로 출범한 한국제약바이오협회가 2025년 창립 80주년을 맞아 산업의 뿌리를 되새기고 ‘K-제약바이오 강국’을 향한 미래를 준비한다는 계획이다. 오는 10월 24일 협회 본관 4층 강당에서 개최되는 협회 창립 80주년 기념식은 정부, 국회, 유관단체를 비롯해 협회의 역대 회장 및 이사장, 제약바이오산업계 관계자들이 다수 참석 예정이다. 기념식은 박주아 KBS 아나운서가 사회를 맡아 1, 2부로 나뉘어 진행된다. 1부는 발달장애인 연주단원으로 구성된 하트브라스앙상블의 축하공연을 시작으로 산업의 길을 연 선구자 등 선배 제약인들의 공적을 기리는 추모의 시간을 갖는다. 이어 ‘80년 도전과 혁신, 미래를 열다’라는 주제의 산업·협회 홍보영상 상영과 80주년 기념사업 경과보고 뒤 ‘한국제약바이오협회 80년사’
‘한국 간질환의 현주소와 우리의 과제’라는 주제로 10월 20일 ‘간의 날’ 기념식 개최 l 10월 20일 스물여섯 번째 간의 날, 한국간재단과 대한간학회 공동으로 기념식과 토론회 개최 l 내년부터 도입되는 C형간염 국가 검진의 의의와 향후 국민 건강 증진을 위한 활용 방안을 논의 l 미래에 간 건강을 가장 크게 위협한 대사이상 지방간질환의 명명법 변화의 의의와 향후 국민 건강을 위해 가야할 방향을 제시 한국간재단(유병철 이사장)이 주최하고 대한간학회(김윤준 이사장)가 주관하는 ‘간(肝)의 날’ 기념식및 토론회가 10월 20일,웨스틴조선 서울에서 진행되었다. 한국간재단과 대한간학회는 건강한 사회를 만들고 국민들에게 간질환에 대한올바른 정보와 이해를 제공하고자 매년 10월 20일을 '간의 날'로 지정하였으며, 올해로스물여섯 번 째를 맞이하였다. 2000년부터국내에서 시작한 ‘간의 날’은 세계보건기구 (WHO) 가 지정한 ‘세계 간염의 날(매년 7월 28일)’보다 10년 이상 앞서 출발한 기념일로 국민 간 건강 수호에 앞장섰다는평가를 받고 있다. 1부 간의 날 기념식에는 한국간재단 유병철 이사장, 대한간학회 정숙향 회장, 김윤준 이사장 등을 비롯하여 더불어민주당
Keydr. Power Interview 발달지연 아동 위해 시스템과 제도개선 함께 해주세요 - 대한소아청소년행동발달증진학회 박양동 이사장